무직자 디딤돌대출 가능한가? 무소득자 소득추정 방법

이번 글에서는 무직자 디딤돌대출 가능한지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돈을 빌리기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한 것이 있습니다. 바로 상환 능력입니다. 상환 능력을 가장 쉽게 확인할 수 있는 것은 다름 아닌 소득인데요. 과연 소득이 없는 무직자도 디딤돌대출을 받을 수 있을까요? 받을 수 있다면 어떻게 소득을 추정하여 즉 어떤 기준으로 대출을 해주는 것일까요? 아래의 내용을 꼼꼼히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디딤돌대출은 무엇인가?

이 글을 읽고 계신 분이라면 잘 알고 계시겠지만, 그러지 않은 분들을 위해 디딤돌대출이란 무엇인지부터 간단히 설명해드리겠습니다.

디딤돌대출의 정식 명칭은 ‘내집마련 디딤돌대출’인데, 이름처럼 주택 구매를 도와주는 주택구입자금대출입니다. 전세나 월세가 아닌 집을 구입하는 분들이 이용할 수 있는 상품인데 정부가 주택도시기금을 통해 운영하고 있습니다. 디딤돌대출은 그 어떤 주택구입자금대출보다도 금리가 저렴하여 인기가 많은데요. 그만큼 조건이 조금 더 까다롭습니다.

조건이 까다롭기는 하지만 그럼에도 해마다 예산이 모두 소진될 정도로 많은 이들이 이용하고 있습니다. 오늘의 글은 무직자 분들을 위한 글이기 때문에, 디딤돌대출의 기본적인 자격 조건 및 금리 등에 대해서는 아래 글을 참고해보시기 바랍니다.

디딤돌대출이란? 주택 구매 예정이라면 필독!

 

무직자 디딤돌대출

무직자도 디딤돌대출 이용이 가능한지를 살펴보기 위해, 먼저 디딤돌 대출에서 말하는 무직자의 기준을 정확히 알아보겠습니다.

디딤돌대출 자격 조건을 판단함에 있어서 무직자는 소득이 없는 사람(무소득자)을 말하는데, 더 정확하게 말하면 국세청에 세금신고가 되지 않는 사람을 말합니다. 즉 백수나 주부, 학생, 또는 직업이 있다 할지라도 4대보험에 가입되어 있지 않거나 프리랜서인데 소득증빙이 어려운 사람들입니다

 

디딤돌대출 무소득자 기준

디딤돌대출에서 무소득자로 간주하는 경우는 이와 같습니다.

  • 사실증명원 상 납세신고 사실이 없는 자
  • 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 상 직장가입자가 아닌 자(지역가입자)
  • 사업하다 폐업한 자 또는 퇴직자
  • 직장가입자의 피부양자
  • 부부합산 연소득이 2,400만원 이하인 경우
  • 전년도 또는 당해년도에 사업을 개시했지만 소득 입증을 할 수 없는 사업소득자(소득신고 전인 경우)

 

무직자 디딤돌대출 가능한가?

그렇다면 위에 해당하는 사람들은 디딤돌대출을 못 받는 것일까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무직자도 디딤돌대출을 받을 수 있습니다.

무소득자도 소득을 인정받을 수 있는 방법이 있는데요. 그것을 ‘추정소득’이라고 합니다. 그 추정소득의 액수가 디딤돌대출의 소득요건을 충족한다면 대출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제 추정소득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디딤돌대출 추정소득

디딤돌대출에서는 2가지 경우에 의해 추정소득을 인정받을 수 있는데, 국민연금건강보험료입니다.

 

국민연금 또는 건강보험료

우리나라 국민이라면 누구나 매달 내고 있는 국민연금과 건강보험료로 소득으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최근 3개월 동안 납부한 내역의 평균치를 내어 거기에 요율을 곱해 연소득을 추정합니다.

국민연금 추정소득 계산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연소득 = 최근 3개월 납부한 국민연금 평균액 ÷ 9% x 12 x 95%

 

아래는 건강보험료 추정소득 계산방법입니다.

연소득 = 최근 3개월 납부한 건강보험료 평균액 ÷ 3.545% x 12 x 95%

 

위 두가지 중에서 본인에게 더 유리한 것 하나를 선택하여 납부내역을 증빙할 수 있습니다. 단, 이 추정소득은 최대 5천만원까지만 인정 가능합니다. 이 말은 소득이 높아 국민연금이나 건보료를 아무리 많이 납부하고 있다 하더라도 연소득을 최대 5천만원까지만 인정해준다는 겁니다. 또한 최근 3개월동안 미납된 내역이 없어야 하는데, 만약 미납한 돈이 있다면 일시로 납부하면 인정을 해줍니다.

 

 

2023년 기준, 국민연금, 건강보험료 금액 별 추정소득은 아래와 같습니다.

추정소득 국민연금 3개월 평균 납부액 건강보험료 3개월 평균 납부액
10,000,000원 78,947원 31,096원
20,000,000원 157,895원 62,193원
30,000,000원 236,842원 93,289원
40,000,000원 315,789원 124,386원
50,000,000원 394,737원 155,482원

 

디딤돌대출의 자격과 금리는 연소득에 의해 결정됩니다. 연소득이 낮을수록 금리가 낮아집니다. 단, 연소득이 너무 높다면 대출이 불가합니다. 자격 조건과 금리에 대해서는 아래를 참고해보시기 바랍니다.

 

무직자 디딤돌대출 이용 시 주의사항

다른 신용대출이나 시중의 주택담보대출의 경우 개인의 신용카드 사용액을 추정소득으로 인정해주기도 하는데요. 디딤돌 대출의 경우 신용카드 사용 내역은 인정해주지 않습니다. 이 둘 중에 대출 시 더 유리한 쪽을 선택해서 납부내역을 증빙하면 됩니다.

또한, 디딤돌대출 조건으로 추정소득을 이용하게 될 경우, 단점이 있는데요. LTV를 최대 60%까지만 인정해줍니다. 즉, 주택 금액의 60%까지만 대출 한도가 나옵니다. 디딤돌대출의 LTV가 70~80%인 것에 비해서는 아무래도 낮기 때문에 대출 시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현금이 더 많아야 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상으로 무직자 디딤돌대출 이용 가능한지에 대해 다뤄보았습니다. 무소득자라 할지라도 소득을 인정받는 방법을 알려드렸는데요. 자신의 국민연금, 건강보험료 납부액을 확인하시어 추정 연소득이 얼마로 책정되는지 계산해보시기 바랍니다.

 

<관련글 더보기>

신혼부부 주택구입자금 대출 금리 및 조건 완벽정리!

디딤돌대출 신청 방법 – 온라인으로 5분이면 끝!

디딤돌대출 2024 최신 정보 완벽하게 정리

Leave a Comment